유통시장의 의의와 기능
유통시장은 발행시장에서 이미 발행된 증권이 투자자들 상호간에 매매, 거래되는 시장을 말한다. 발행시장이 발행주체가 발행한 증권이 최초의 투자자에게 이전되는 1차적 시장이라고 한다면, 유통시장은 발행된 증권을 소유하고 있는 투자자와 다른 투자자간에 거래되는 2차적 시장을 의미한다.
유통시장의 기능으로는
1. 증권의 시장성과 유동성을 향상시켜 투자를 촉진시킴으로써 발행 시장에서의 장기자본의 조달을 원활화하게 한다.
2. 경쟁에 의거한 공정한 가격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투자자에게 투자판단을 제공한다.
3. 유통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은 향후 증권을 발행할 때의 가격 형성에 기여한다.
4. 적정가격형성으로 현금화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증권의 담보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증권을 담보로 한 차입을 용이하게 해준다
유통시장의 분류
거래소시장
- 거래소가 금융투자상품의 매매거래를 위해 개설 / 관리하는 구체적이고 조직적인 시장으로, 상장대상 금융투자상품을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시간에 계속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정형적인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거래소가 개설하는 금융투자상품 거래시장으로서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코넥스시장, 파생상품시장이 있다.
장외시장
- 거래소시장 밖에서 당사자간에 상대매매의 형태로 증권이 거래되는 비조직적 시장으로, 주로 금융투자회사(금융투자업자, 구체적으로는 투자중개업자)의 창구에서 매매 당사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두시장(OTC Market : over the counter market)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구분을 의미를 살실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장회시장도 거래소시장과 같이 조직화 해 가고 있으며, 과거 거래소시장의 전 단계적/보완적 시장에서 상호 경쟁적 시장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환율에 관한 고찰 (0) | 2023.12.23 |
---|---|
[경제][투자] 주식투자를 시작한다면 (0) | 2023.12.22 |
[경제] 자본시장의 발행시장 : 정의와 종류 (0) | 2023.12.21 |
[경제]자본시장의 정의, 기능 (0) | 2023.12.21 |
[경제] 간접금융시장이란 (0)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