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파일 입출력 종류
1. 텍스트파일 -> 줄 단위 읽기, 쓰기, 문자열 처리
2. CSV -> 표 구조를 DICT나 pandas DataFrame으로 불러옴
3. JSON -> 계층적 데이터 구조
4. 엑셀, 이미지 등 바이너리 포맷
1. 텍스트 파일 다루기
개념 정리
- open("파일명", "모드", encoding="utf-8")
- 모드 "r" = 읽기, "w" = 쓰기, "a" = 이어쓰기
- with open(...) as f: → 자동으로 파일 닫기
- f.read() : 전체 읽기
- f.readline() : 한 줄만
- f.readlines() : 줄 목록(list)
- f.close() : open()함수를 이용하여 연결된 파일의 리소스를 해제
파일 다루는 내장 함수들을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에 대한 개념과 연습을 먼저 습득하는게 좋습니다.
반응형
먼제 텍스트 파일 하나를 만들자.
간단하게 "notes.txt"라고 만든 후 세 줄을 입력합니다.
hello
python
world
이제 이 파일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대문자로 바꾸는 간단한 연습을 합니다.
#파일 불러오기 - open함수를 이용하면 반드시 closs()를 이용하여 해제한다.
f = open('notes.txt','r',encoding='utf-8')
#encoding 방식을 utf-8로 지정하여 불러온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여 한글깨짐 방지하기
#for문을 이용해 파일의 데이터를 한줄씩 읽어들인다.
for smallS in f:
#읽어들인 파일의 데이터를 대문자 변환 함수인 upper()를 이용하여 변수에 저장
bigS = smallS.upper()
#대문자로 변환저장된 변수값을 출력, file객체의 데이터를 읽을 때 개행문자가 줄끝에 기본 적용되기에 출력할 때 end=""속성으로 줄바꿈을 해제해준다.
print(bigS,end="")
#close함수를 이용하여 모든 파일작업을 마무리하고 리소스를 해제한다.
f.close()
이런식으로 텍스트 파일을 다루는 연습을 꾸준히 합니다.
물론 예제가 적을 수도 있지만 더 많은 예제를 이용하여 연습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words.txt 파일
- 파일을 읽어 각 단어가 몇 번 나왔는지 dict로 세고 출력.
#예제 1: 단어 개수 세기
apple banana apple grape banana apple
#출력 예시{'apple': 3, 'banana': 2, 'grape': 1}
story.txt 파일
- 파일을 읽어 "Python"을 "Java"로 바꿔 새 파일 story_new.txt에 저장.
#예제 2: 특정 문자열 치환
Python is fun.
I like Python programming.
story_new.txt 파일 내용:
Java is fun.
I like Java programming.
numbers.txt 파일
- 파일을 줄 단위로 읽어 숫자로 변환.
- 합계와 평균을 계산해 출력.
#예제 3: 숫자 합계 구하기
10
20
30
40
50
#출력 예시
sum = 150
avg = 30.0
세가지 예제를 직접 만들어 본 후 제가 작성한 코드와 비교해보면 더욱 학습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programing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파이썬 기초 문법 커리큘럼 - 머신러닝을 향하여 (0) | 2025.09.19 |
---|